본문 바로가기
한국교육

한국의 교육열과 그로 인한 성취 뒤에 숨겨진 어두운 그림자

by treenare 2022. 1. 10.

한국의 교육열은 우리 학생들에게 수많은 성취를 가져다주었습니다. 하지만 그 뒤에 숨겨진 어두운 그림자들 역시 존재하고 있는데,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눈이 죽어있는 한국의 학생들

한국에서 한 학생이 스트레스로 병이 난 이후 그 동생은 그 덕에 한국을 벗어나 밴쿠버로 이사를 했다고 합니다. 그의 형제의 의사 진단은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가슴 통증과 집에서 주사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심한 알레르기가 동반되었다고 합니다. 

 

동생이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어머니의 문제 인식 덕이였습니다. 어머니가 일찍 문제를 인식하고 해외로 데려갈 수단이 있어 다행이었지만, 대부분 한국의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끊이없이 압력을 받으면 살아가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비싼 학원에 다니며 11살이 채 되기도 전부터 고급 영어 문법을 배우며 살아가는데, 진지하게 공부에 임하는 그들의 눈은 이미 죽어있는 것과 다름이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높은 성취, 낮은 행복

세계는 아마 한국의 교육을 본보기로 볼지 모릅니다. 국제 교육 시험에서 최고 학생들 중 꽤나 많은 자리를 한국 학생들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 학생들이게 지금 행복하냐고 묻는다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한국 교육의 제도적 어두운 면은 긴 그림자를 가지고 한국 사회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타이거맘, 입시학원, 권위주의적 교사들이 장악한 한국의 교육은 학생들의 건강과 행복에 큰 대가를 치르고 있습니다. 

 

성취도 높은 학생들을 양산하고 있지만, 어떻게 보면 프로그램 전체가 아동 학대에 가까운 수준의 요구들을 한국의 모든 학생들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염려될 때가 많습니다. 

 

 

한국 시스템의 강점과 그로인한 부작용

한국의 시스템만의 강점도 분명히 있습니다.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성공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이 가져다주는 동기부여입니다. 

 

중학교 시험이후 발행되기 시작하는 성적표는 한국 교육에 대한 극심한 공포감을 학생들에게 선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적표는 자녀들의 성적을 걱정하는 부모들로 하여금 학원이나 과외 등 자녀 교육에 투자를 하게 만들고 이러한 투자는 성적 향상이라는 성취를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퍼질대로 퍼져버린 경쟁 문화는 여러 병폐를 만들어내기 시작합니다. 학원과 같은 곳들은 자녀들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성공하기를 바라는 부모들의 열망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학원은 영혼이 없는 시설로 얇은 벽으로 나뉜 방안에 긴 형광등이 켜진 곳에서 수학 공식을 암기하고 영어 어휘와 국어 문법을 배우는 학생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학생들은 보통 학교가 마친 이후 밤 10시 또는 그 이후까지 학원에 머무르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신체적, 심리적 병폐 해결을 위한 시스템 개선 필요

이러한 교육에 대한 투자는 한국인들이 국제 평가 프로그램에서 눈부신 점수를 받아내는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점점 더 전 세계 학생들이 서로 비교를 하는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지나치게 열성적인 부모들과 민간 산업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은 학생들이 부담해야하는 심리적, 신체적인 비용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절대 지속 가능하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많은 젊은 한국인들은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머리카락 뭉치가 빠지기도 하고 심각한 두통, 우울증, 자살 등 한국 학생들을 위한 보호장치가 없다고 느껴질 정도의 경쟁 사회 한가운데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한국의 시스템은 지체 없기 개혁되고 반드시 재구성되어야만 합니다. 

 

한국의 교육열은 조선왕조 때도 자녀들을 과거에 합격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역사적인 것중 하나입니다. 한국 문화 단위가 가족단위에 각별히 집중하기 때문에 많은 부모들이 자녀의 미래를 결정할 권리가 있다고 믿는 것도 문제입니다. 가족이라는 단위의 관점은 아이들을 엄격하게 통제하며 이로 인해 자녀들은 부모의 말을 절대적으로 들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