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교육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정의와 예시(파블로프의 개, 시행착오설 등)

by treenare 2022. 1. 31.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인간이 어떻게 학습을 거치는지 인간에게 학습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를 규정하는 이론입니다. 상세한 내용이 어떤 것인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

 

1.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특징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학습을 통해 어느 정도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보통 어떤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단지 머릿속에만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일 때 학습이 일어났다고 말하는 것이 행동주의 관점의 학습입니다. 

 

행동주의에서 학습은 반드시 밖으로 드러나는 행위로 나타나야 하며 단순히 생각만 하고 말면 행동주의에서는 학습으로 보지 않으며 어떤 경험이나 연습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행동주의에서는 학습이 어떤 자극에 대한 반응과 잘 연계가 된다고 보는데, 자극이 주어지면 어떤 반응이 나올 것이다는 연계성을 잘 설명해주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활용

곰이 서커스단에서 열심히 훈련을 받아 재주를 부릴 수 있게 되었다는 예시처럼 학습이라는 것은 동물이건 사람이건 비슷한 어떤 자극이 주어졌을 때 반응을 보인다는 유사성을 찾는 것입니다. 

 

그래서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인간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해 동물이나 다른 유기체들을 활용을 하여 이들이 자극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간의 학습도 비슷하게 일어날 것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실험 연구를 많이 한다고 합니다. 

 

행동주의 학습 이론가들은 실제 위와 같은 실험의 결과를 통해 학습을 예측하고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고 결과를 보며 학습이라는 과정을 설명하게 됩니다. 

 

 

3. 파블로프의 개 실험 개요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 기억해야 한 중요한 이론들이 있는데, 아주 대표적인 이론들을 몇 가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파블로프의 개 실험입니다. 

 

개가 먹이 줄 때만 되면 침을 흘린다는 관계에서 나중에는 종소리하고 먹이를 같이 줬더니 침을 흘렸고 중간에 계속 이런 식으로 연습을 시키는 과정을 거칩니다. 

 

결과적으로 나중에는 먹이를 주지 않더라도 먹이와 연합되어 있던 종소리만 들어도 개는 침을 흘리고 밥을 주는가 보다 학습하게 되는 것입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 장면

 

4. 파블로프의 개 실험의 교훈

이 것이 어떤 자극에 대해 우리가 어떤 반응이 나오는 것인가에 대해 잘 훈련이 되어 연합의 과정을 학습시켰다는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은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이라는 말도 하게 되는데,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에서는 동물 실험과 같은 것들을 통해 인간이 기본 적으로 어떠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인간의 학습 과정을 동물 실험을 통해 알게 되는 것입니다. 

 

 

5.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

이와 유사한 또 다른 유명한 이론에는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도 있습니다.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은 어떤 상자 안에 쥐를 넣어놓고 쥐가 우연히 탈출을 하기 위해 시행착오를 거치게 둡니다. 

 

쥐는 이렇게도 가보고 저렇게도 가보다가 우연히 어떤 레버를 누르게 되고 탈출구가 열려 나갈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식의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과 파블로프의 개 실험은 동물의 훈련과 학습 이런 것들을 설명할 때는 말이 됩니다.

 

하지만 인간의 학습은 동물들의 학습과는 조금 다른 차원이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간의 학습이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유기체로서 자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손다이크의 모습

6.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

따라서 앞서 소개드린 두 행동주의 이론들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이론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입니다.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 실험 역시 상자에 쥐를 넣고 하는 실험인데, 초기 시작은 시행착오 실험과 비슷합니다.

 

그런데 우연히 레버를 누르자 먹이를 주고 그것을 인지한 쥐가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먹이를 주게 됩니다. 그러자 먹이를 먹으면서 계속 행동을 더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이론가들은 실험에서 사용된 유기체인 쥐가 먹이라는 강화물이 주어지자 행동이 더 증폭이 된다라는 조작적 조건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과 다른 점은 어떤 자극이 주어져 내가 무조건 반응을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어떤 강화가 주어졌기 때문에 어떤 행동을 하기로 결정했다는 결론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은 기존 다른 행동주의의 이론들과는 다르게 인간의 학습을 설명하는 데에도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많은 곳에서 인간의 학습을 설명하는데 활용된다고 합니다. 

 

스키너의 모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