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구학습이 가지고 핵심 가치와 탐구학습을 진행하는 과정과 흐름, 이행방안 및 주의사항 등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탐구학습은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수업 모델
탐구학습은 아주 익숙한 수업모형 중 하나입니다. 주로 과학시간에 많이 들어봤을 탐구학습은 사실 과학시간에만 사용될 수 있는 모형은 절대 아닙니다.
예전부터 탐구학습이 개발되어온 역사를 보면 오히려 사회과학과 같은 분야에서 훨씬 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학시간에 주로 사용될 것만 같았던 탐구학습이라는 수업 모형이 어떤 식으로 보편적으로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탐구학습은 핵심가치는 말 그대로 탐구하는 역량 강화
가장 먼저 탐구학습은 말그대로 탐구에 핵심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지적 호기심을 위한 탐구 문제를 일단 설정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을 배우는 수업 방법입니다.
이런 수업 방법이기 때문에 지적 호기심을 가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질문을 던질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 교육 공학 수업에서 핵심적으로 이야기하는 수업 방식은 대부분 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모형들입니다.
우리는 이미 너무나 많은 경험을 통해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 교수자가 주도하는 수업에만 익숙한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학습자 주도형 수업 방식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가장 효과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학습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탐구학습의 과정 및 흐름
탐구학습 방빅은 가장 쉽게 생각한다면 연구형 수업 방법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연구를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쉽게 이해가 가겠지만 연구의 시작은 호기심을 가지고 어떤 가설을 세우는 것에서부터 입니다.
가설을 세우고 예측을 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예측이 맞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데이터 자료를 수집하고 검증하는 절차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검증을 거쳐 본인이 찾아본 자료에 의해 내 가설이 맞았는지, 아닌지에 대해 결론을 내게 됩니다. 이것이 탐구학습을 하는 과정이고 방법입니다.
구체적인 탐구학습 이행 방안과 주의사항
어떤 문제로부터 학습자가 가지는 문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교수자가 어느 정도 수업 주제에 맞는 문제를 제시하거나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 인식에 의해 가설을 세우는 것은 학습자의 몫으로 온전히 두어야 합니다. 가설을 검증하는 것 역시 학습자들이 설계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설계는 어떤 자료를 어디서 찾을 것인지, 누구에게서 얻을 것인지, 그리고 얻은 자료들을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계획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료를 가지고 결론을 도출해야 합니다.
학습자들은 교수자로부터 적절한 조언이 주어지면 충분히 잘할 역량을 가지고 있찌만 학습자 중심의 학습은 모든 학습자들이 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전제는 약간 힘들 수 있습니다.
또한 탐구학습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교실 수업시간 내에서만 딱 이루어지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한 학습시간을 미리 잘 설계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국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자들이 말하는 학습에 대한 정의와 특성에 대한 정리 (0) | 2022.01.31 |
---|---|
교육 공학의 정의와 교육 공학이 일반 공학과 다른 특징 (0) | 2022.01.28 |
교수 설계를 위한 대표적인 모형 Dick & Carey 모형 분석 (0) | 2022.01.26 |
학습스타일과 선호도에 따른 학습자 4가지 유형 구분법 (0) | 2022.01.25 |
교사들의 교육 스타일 정리(위임자, 진행자, 시연자, 하이브리드 등) (0) | 2022.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