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프로그램 알약이 랜섬웨어가 아닌 정상 프로그램을 랜섬웨어로 잘못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하며 이용자들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스트 시큐리티의 백신 프로그램 알약의 랜섬웨어 오류 메시지 사태 발생
랜섬웨어 차단 알림 발생
30일 보안 전문 기업인 이스트 시큐리티의 백신 프로그램인 알약이 정상 프로그램을 랜섬웨어로 인식하며 계속해서 차단 알림 메시지를 내보내는 등의 오류를 일으켰습니다.
이스트소프트에 따르면 알약 프로그램 사용자 수는 1600만 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알약 사용자들은 이날 PC에서 일부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랜섬웨어 차단 알림 메시지가 계속 표시되면서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메시지 내용
메시지 내용은 WetFault.exe 등 다양한 이름의 프로그램을 들며 PC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지만 알약이 랜섬웨어의 의심 심 행위를 차단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또 알약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를 진행한 후 검사를 진행해달라는 메시지가 추가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알약이 윈도우에 설치된 기본 프로세스를 랜섬웨어로 잘못 인식하여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스트시큐리티의 긴급 공지 내용
알약 공개용 버전 문제
해당 문제에 대해 이스트 시큐리티는 홈페이지에 알약 공개용 제품 관련 긴급 공지를 통해 사과문을 작성했습니다.
이스트 시큐리티의 공지에서 30일 오전 11시 30분 업데이트된 알약 공개용에서 랜섬웨어 탐지 오류 발생으로 정확한 원인 분석과 긴급 대응을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류가 발생한 프로그램은 알약 공개용 버전 v2.5.8.617으로 기업용 제품에는 이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복구 툴 준비 중
장애 원인은 오후 1시 30분 정도에 확인이 되었으며, 이를 복구하는 방법을 배포 준비 중에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복구를 위한 정확한 툴이 언제 배포가 될지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또한 이번 오류 사태 이후 저녁 6시까지 회사 홈피이지가 접속이 되지 않기도 했습니다.
알약 랜섬웨어 오류 알림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윈도우 먹통, 리부트 불가 등
알약 사용자들 중 상당수는 오류 메시지를 믿고 조치를 취했다 윈도우가 먹통이 되거나 리부트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등 심각한 문제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알약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윈도가 먹통이 되며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리부트도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다는 글들이 올라왔습니다.
소셜미디어와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서도 해당 불편을 토로하는 글들이 계속해서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강원지역 한 회사의 경우 8월 30일 오후 알약으로 인한 PC 문제가 계속되자 본사는 물론 지사와 본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알약을 삭제할 것을 지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직원 PC는 이미 이러한 오류가 활성화되며 PC가 먹통이 되는 일들이 발생하며 업무에 큰 차질을 주었다고 합니다.
이스트 시큐리티의 IPO에 영향 줄까..?
기업 공개를 준비 중인 이스트 시큐리티
알약은 이스트 시큐리티의 백신 프로그램으로 약 1천600만 명이 사용 중에 있는 가장 유명한 국내 백신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2017년 모회사인 이스트 소트에서 보안 전문기업으로 독립한 이스트 시큐리티는 알약의 성공을 기반으로 기업 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는데, 치명적인 실수를 범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이번 사고가 외부 침입에 의한 보안 침해사고는 아니며 내부적 시스템 패치 오류가 문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IT 장비 및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역대급 판매량을 보이고 있는 갤럭시 Z 플립 4과 폴드 4, 판매량 증가요인 등 정리 (0) | 2022.09.03 |
---|---|
갤럭시 z4플립 스펙 가격 및 저렴하게 구입하는 방법 정리 (0) | 2022.08.31 |
갤럭시 제트플립4 자급제 가격 알뜰폰 요금제 연결 등 총정리 (0) | 2022.08.30 |
아이폰 14 pro 가격, 디자인, 사이즈 카메라 성능 등 다양한 루머 정리 (1) | 2022.08.27 |
환율,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어마어마한 아이폰 14 pro 가격, 출시일 정리 (0) | 2022.08.26 |
댓글